Knowledge

메인 페이지 Knowledge NBCI News

NBCI News

Total 393

  • 2015년 소형자동차 부문 NBCI 보도자료

    소형차 최초 7단 더블클러치 변속기 적용소형자동차의 강자인 엑센트는 77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2015년 새롭게 조사를 시작한 소형자동차 산업의 NBCI 평균은 73점이었다. 자동차 산업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소비 패턴 변화에 따라 고효율의 소형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대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엑센트가 77점으로 전체 자동차 브랜드 중 최상위 그룹으로 평가됐다. 72점의 프라이드가 2위, 69점의 아베오가 3위였다. 조사 대상 브랜드 모두 다른 산업과 비교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관계에서 높은 평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엑센트와 프라이드는 주 사용 고객과 비사용 고객의 평가 모두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엑센트는 전반적인 평가 요인에서 우위를 보였다. 마케팅 활동,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에선 압도적 우위를 기록했다. 1995년 첫선을 보인 엑센트는 소형자동차의 경계를 허물며 자동차 대중화에 있어 선두적 역할을 했다. 7단 DCT(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를 장착한 ‘2015년형 엑센트’를 출시하며 거듭나고 있다. 프라이드는 1987년 3월 1세대 출시 후 현재까지 3세대로 거듭나며 기아자동차의 ‘아이코닉 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엔 후속 모델 ‘YB’의 내년 하반기 출시를 발표했다. 차량 분류가 세분화되고 다운사이징을 통한 효율성의 극대화가 트렌드로 자리잡아 가면서 소형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선 브랜드 경쟁력이 키 팩터(Key Factor)로 작용할 것이다. 3사 간에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각 브랜드별 브랜딩 활동 수위를 높여가며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승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경형자동차 부문 NBCI 보도자료

    터보 엔진 장착 … 파워까지 겸비한 국민 경차올해 조사 대상에 편입된 경형자동차 산업에서 모닝이 1위를 차지했다.올해 처음 조사 대상 산업으로 편입된 경형자동차 산업의 NBCI 평균은 72점이었다. 모닝이 76점으로 제조업 산업군 브랜드 중 상위권으로 평가됐으며 자동차 산업 조사 대상 브랜드 중에서도 높은 평가 수준을 보였다. 스파크가 72점으로 2위, 레이가 68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모닝은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평가에서 경쟁 브랜드에 큰 폭의 우위를 보이는 등 모든 구성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경형자동차 산업의 쌍두마차인 스파크는 주사용 고객의 평가 수준이 비사용 고객 평가 대비 월등히 앞서고 있다. 이에 따라 비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활동을 통해 잠재고객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니멀리즘이 대세인 가운데 경형자동차는 가장 효율적인 차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런 경형자동차 산업의 중심에 모닝이 있다. 2011년 풀체인지 모델을 출시하며 사랑을 받아온 모닝은 최근 고효율에 터보를 장착해 파워트레인을 강화한 신형 모닝을 출시하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모닝은 비사용 고객의 평가 수준이 높았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구매 의도에서 상당한 점수 차를 보였다. 출시 이후 안전성을 강조해온 스파크는 꾸준한 브랜딩 활동과 제품 개선 활동으로 브랜드 관계와 충성도 부분의 평가 수준이 모닝과 동등했다. 이뿐만 아니라 주사용 고객 평가 수준이 경쟁 브랜드에 비해서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됨에 따라 기존 주사용 고객들의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와 브랜드 경쟁력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2014년 집계에 따르면 경형자동차는 20~30대 소비자가 주를 이루던 과거와 달리 40~50대의 판매 비율이 큰폭으로 상승했다. 사회 초년생으로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연령층에서 경형자동차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브랜드 간의 경쟁도 첨예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승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SUV자동차 부문 NBCI 보도자료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디젤 차량 선정 SUV 싼타페가 74점으로 평가되며 1위를 차지했다.효율과 성능, 지난해 자동차 산업의 모든 브랜드가 지향한 키워드다.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산업은 고연비와 힘을 동시에 실현시킨 SUV로 그 인기는 해를 거듭할수록 식을 줄 모르고 있다. 2015년 SUV 자동차 산업 NBCI평균은 72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3점 상승한 싼타페가 74점으로 평가되며 1위를 차지했다. 2014년 가장 많이 판매된 디젤 차량으로 선정되며 가장 인기 있는 차량으로 손꼽혔다. 또 5점의 큰 상승폭을 보인 쏘렌토가 전년 대비 4점 상승한 스포티지와 72점으로 공동 2위에 올랐다. 지난해 최하위를 기록했던 코란도는 6점 상승한 71점으로 4점 상승한 투싼과 함께 공동 4위로 평가됐다.  1위와 4위 브랜드의 격차가 3점에 불과해 SUV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했음을 보여준다. 세단보다 SUV자동차의 관심이 해를 거듭할수록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싼타페는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평가 수준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전년도 3위였던 쏘렌토와, 5위로 평가되었던 코란도의 상승폭이 컸다. 송덕순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타이어 부문 NBCI 보도자료

    타이어 외길 70년, 품질 보증기간 6년타이어 산업의 한국타이어가 75점으로 평가됐다.타이어 산업의 NBCI 평균은 72점으로 전년 대비 4점 상승했다. 한국타이어가 지난해보다 5점 상승한 7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금호타이어가 4점 올라 73점으로 2위, 넥센타이어가 3점 상승한 69점으로 3위로 평가받았다. 전년대비 조사 대상 브랜드간 순위 변동은 없었다. 상대적으로 1위의 점수 상승폭이 높아 1위와 3위 브랜드간 수준 차이는 전년보다 2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타이어 시장은 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넥센타이어가 삼분(三分)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국내 1위 타이어 브랜드로 역사가 70년이 넘었다. 한국타이어의 NBCI 평가 수준은 하락세를 보였던 지난해와 대비되는 모습을 보였다.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관계에 대한 평가 수준이 경쟁 브랜드보다 우위를 점했다. 사용 고객의 평가 수준이 6점 상승해 NBCI 종합 점수를 끌어올린 구심점이 됐다.  한국타이어의 ‘품질 보증기간 6년’, 금호타이어의 ‘타이어 마모 수명 보증제도’, 넥센타이어의 ‘명품 보증제’ 등 품질 경쟁이 활발해 앞으로의 결과에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 배은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가스보일러 부문 NBCI 보도자료

    가스누출탐지기·지진감지기 전 모델 탑재귀뚜라미 보일러는 ‘가스비 절감’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가스보일러 산업 NBCI는 74점으로 전년 대비 4점 상승했다. 1위 귀뚜라미보일러 NBCI는 전년 대비 3점, 2위 경동나비엔은 전년 대비 5점 올라 2위 브랜드인 경동나비엔의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보일러 산업 내 1위 경쟁의 열기는 상당히 치열하다. 그로 인해 업계에서의 공격적 마케팅 활동 및 경쟁이 브랜드 경쟁력 평가에 높게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가스보일러 브랜드가 가장 어필하는 핵심 커뮤니케이션 요소는 효율성이다. 귀뚜라미 ‘4번 타는 보일러’는 ‘가스비 절감’이라는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거꾸로 콘덴싱 보일러’는 가스비를 절감시키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또 전 모델에 가스누출탐지기와 지진감지기를 탑재해 지금까지 인명사고 사례가 전혀 없는 안전한 보일러 브랜드로 포지셔닝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경동나비엔의 경쟁력 상승도 주목할 만하다.  가스보일러는 최근 몇 년간 도시형 생활주택 등 소규모 주택시장의 건설 실적 증가가 전체 내수시장 증대를 이끌어 왔으나, 올해는 소규모 주택건설 규모의 감소로 추가적인 성장에 대한 기여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신규 수요보다 교체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고효율 보일러 보급이 제도화되고 점차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송덕순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가정용가구 부문 NBCI 보도자료

    시공기사 2800여 명으로 늘려가정용가구 산업 NBCI에선 한샘이 지난해보다 2점 상승한 76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가정용 가구 산업 NBCI 평균 점수는 73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1위 한샘이 지난해보다 2점 오른 76점으로 나타났다. 2위 리바트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3점이 뛰어 74점을 기록했다. 까사미아는 올해 1점 상승해 70점을 받았다. 1~2위 간 NBCI 수준 차이는 지난해 3점에서 2점으로 1점 축소됐다.  한샘은 서비스 인력 강화와 유통채널의 다각화를 통해 올해 브랜드경쟁력 향상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받았다. 한샘은 직원이 가구를 직접 배달하고 시공까지 해주는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다. 2014년엔 시공기사 인력을 2800여 명으로 늘리고 전국적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해 서비스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했다. 한샘은 하나의 대형매장보다는 고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통채널을 다양화하고 있다. 온라인몰의 경우 온라인 전용제품을 따로 만들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전략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한샘의 서비스 전략, 유통·판매 전략이 고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이어져 마케팅과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관계 평가에서 각각 2~3점씩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생산성본부 측은 앞으로도 국내 가정용 가구 산업의 브랜드 경쟁력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기대했다. 장기적 브랜드 성과인 충성도에서 세 브랜드 모두 고른 성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단기적 브랜드 성과인 구매의도는 감소세를 보였는데 앞으로 국내진출을 노리는 해외 브랜드들의 시장 유입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전망했다.배은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라면 부문 NBCI 보도자료

    매운 맛으로 미국 시장 개척나서신라면이 2015년 NBCI에서 78점으로 라면 산업 1위를 기록했다.라면 산업의 NBCI 점수는 74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신라면이 78점으로 전년도의 점수를 유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2위 삼양라면은 72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했다. 지난해 3위에서 올해 공동 2위로 올라선 진라면은 72점으로 전년도보다 5점이 올랐다. 신라면은 라면 산업에서 브랜드 리더십을 확고히 보유하고 있는 선두주자라는 평을 받았다. 기존 신라면 브랜드의 마케팅 강화와 함께 신라면 블랙 등 서브 제품의 마케팅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신라면은 일본·중국 등의 아시아를 넘어 미국·오세아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신규지역 개척에 나섰다. 또한 신라면 브랜드와 프리미엄 제품을 집중 육성해 한국 토종 브랜드로서의 높은 브랜드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라면 산업 NBCI에선 출시 26주년을 넘긴 진라면의 브랜드경쟁력 상승이 돋보인다. 진라면은 전년 대비 3점 상승한 마케팅 활동을 바탕으로 브랜드 인지도에서 4점 상승, 이미지에서 5점 상승을 달성했다.  삼양라면 역시 전년 대비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진라면과 브랜드경쟁력 수준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양라면이 2위 브랜드를 수성하기 위해선 브랜드 인지도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라면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신제품출시·품질개선·프로모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다양화된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브랜드의 노력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인한 ‘외식 감소’와 ‘합리적 소비경향’으로 당분간 라면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배은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담배 부문 NBCI 보도자료

    품질 실명제, 전 세계서 첫 도입담배 산업의 NBCI평균은 71점이다. 에쎄가 73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담배 산업의 NBCI 평균은 71점으로 전체적으로 지난해에 비해 3점 상승했다. 에쎄가 2점 오른 73점으로 1위를 지켰다. 던힐(72점)·말보로(70점)·더원(69점)이 그 뒤를 이었다. 더원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낮아 올해 4위에 올랐다. 더원을 제외하면 담배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NBCI 평가수준이 낮은 브랜드일수록 상승폭이 높았다.에쎄는 품질·기술·신뢰를 최우선 경영 원칙으로 삼은 KT&G의 ‘고객 가치2.0’ 노력과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 노력으로 업계 1위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3년 6월 출시된 ‘에쎄 체인지’는 세계 최초의 초슬림 캡슐담배로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출시된 신제품 중 최고판매량을 기록했다. 저타르 최고급 담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해 최고 등급 잎담배로 만들어진 ‘에쎄 골든 리프’도 선보였다. 생산자 이름을 직접 담뱃갑에 기재하는 ‘품질실명제’를 전 세계 담배업계 최초로 도입해 완벽한 품질관리 시스템과 발 빠른 소비자 분석을 통한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는 평을 받았다. 업계는 향후 담배 산업의 화두가 ‘20대, 여성 고객 선점’에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흡연율은 점진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하락 추이는 대부분 기존의 주 흡연층을 이루어 온 40~50대 남성 고객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담배 회사가 고려할 고객층은 20~30대 젊은 고객이다. 기존 40~50대를 대체할 뿐 아니라 흡연 초기에 경험한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배은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TV 부문 NBCI 보도자료

    UHD·곡면 TV 시장 주도, 8년 연속 세계 판매 1위삼성 TV는 스마트 서비스를 강화해 79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TV 산업의 NBCI 평균은 78점으로 전년에 비해 무려 7점 상승했다. 이는 올해 조사에서 조사 브랜드의 조정으로 소니 TV가 제외됐기 때문이다. 삼성 TV가 4점 상승한 79점으로 1위를 유지했다. LG TV가 3점 상승한 76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삼성 TV와 LG TV 모두 NBCI 선행요인인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관계에 대한 평가 수준이 상승한 가운데 브랜드 관계의 상승 폭이 컸다. 삼성 TV는 주사용 및 비사용 고객 평가가 고르게 오른 반면 LG TV는 주사용 고객의 상승 폭이 컸다. 삼성 TV는 대형·중저가 TV를 적시 출시하고, 베젤리스 디자인 등 디자인 측면에서의 가치를 이끌어왔다. 아울러 스마트 서비스를 강화해 사용자 가치를 향상시켰다. 또 8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지켜 시장 내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는 점을 활용, UHD TV와 곡면 TV 시장을 주도적으로 형성해 가는 점도 브랜드 경쟁력 상승에 영향을 줬다. 삼성 TV는 비사용 고객보다 주 사용 고객의 NBCI 구성요인 평가 수준이 더 많이 향상됐다.LG TV는 차세대 TV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Web OS 개발 등 사용자 친화적 스마트 플랫폼을 발전시켰다. 또 IPS 패널의 화질에 대한 긍정적 인식, 스마트 TV 사용자의 사용환경 향상, 40인치대 TV의 비교우위 등으로 인해 구입 고객들의 브랜드 이미지와 관계 수준이 크게 상승됐다.국내 TV 시장은 중국 TV 업체들이 추격해 오고 구글과 아마존 등이 스마트TV 시장에 진입하면서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 선도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선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역량 강화가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김승수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 2015년 맥주 부문 NBCI 보도자료

    냉각 필터 기술로 톡 쏘는 맛카스 후레시는 첨단 냉각필터 기술을 기반으로 특유의 맛을 브랜드이미지에 효과적으로 연계시켰다.맥주 산업의 NBCI 점수는 72점을 기록했다. 카스가 76점으로 전년 대비 1점 상승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하이트는 74점으로 전년 대비 2점 상승하며 1위 브랜드와의 점수 격차를 3점에서 2점으로 줄였다. 올해 처음 조사가 시작된 클라우드는 67점으로 현재까지는 상위권 브랜드와의 브랜드경쟁력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스 후레시는 출시 이후 매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젊은 소비자 층에 소구하는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전개해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했다. 첨단 냉각 필터 기술을 기반으로 카스 특유의 맛을 브랜드이미지에 효과적으로 연계시킨 사례다. 이러한 노력을 앞세워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 역시 전년 대비 강화할 수 있었다.  최근 수입 맥주가 국내 시장에서 영역을 넓혀가면서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국내 맥주 브랜드 역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며 시장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 하고 있다. 올해 맥주 NBCI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클라우드의 조사 편입이다. 후발주자의 한계로 인해 1위와 2위 브랜드인 카스와 하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브랜드경쟁력을 나타냈다. 하지만 신규로 진입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브랜드임에도 자사 브랜드와의 고객 관계 수준은 1위권 브랜드와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고 브랜드 충성도 역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카스와 하이트가 국내 맥주 산업을 양분해온 맥주 시장에 지난해 클라우드가 가세하면서 한국 브랜드간의 맥주 경쟁이 치열해졌다. 여기에 수입 맥주가 약진하며 시장 점유율을 크게 넓히고 있어 맥주 시장의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송덕순 객원기자<중앙일보 2015년 3월 2일>

    자세히 보기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